내가 스타트업의 비즈니스에 관해 코칭하는 요지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 것 같다.
1. 새로운 시장에서 2등을 노려라.
새로운 시장에서 1등도 아니고, 굳이 2등을 하라는 것은 이런 의미다. 세상에 없는 서비스를 내놓는 것보다는 기존 제품/서비스를 개선한 버전을 나중에 출시하라는 뜻.
전혀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은 엄청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유의미한 개선은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이 분야의 최강자가 바로 애플이다.
'시장 혁신'이라고 하면 새로운 아이디어, 세상에 없는 서비스를 떠올린다. 그런 것들은 우선 신기할 수는 있겠지만 혁신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대부분이다. 제품/서비스 자체가 부실할 위험성이 많고, 잘 만들어진다고 해도 시장에서 이를 수용할 준비가 안되어 있기도 하다.
2등은 바로 이런 리스크를 피할 수 있다. 혁신은 First to market이 아니라 Mass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다. 오죽하면 First mover disadvantage라는 말이 있을까.
2. 전근대적 거래 관행이 있는 곳을 산업화시켜라.
전근대적 거래 관행이란 '계약 기반'의 거래가 아니거나 지리/규모 측면에서 '좁은 곳'에서 중소 규모의 업체들이 '인맥 기반'으로 거래하는경우를 의미한다.
우리나라 유통업은 전통시장과 동네 슈퍼를 마트 및 편의점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영화관 산업 또한 지역별 단관 형태의 극장을 멀티플렉스와 온라인 기반 예약 시스템으로 대체했다. 배달의 민족 또한 마찬가지다.
물론 변호사나 의사, 그리고 택시 업계처럼 서비스에 대한 법적인 보호로 인해 산업화가 지지부진한 분야도 있다. 로톡이나 타다처럼 고군분투하는 케이스도 얼마든지 많다. 하지만 하나의 성공 사례만 나온다면 댐에 구멍이 뚫린 것과 같이 결국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특히나 요즘 AI가 발달하는 추세를 보면 법무나 의료 등의 특정 도메인에서의 전문성과 저렴한 비용을 결합한 '법무 기업', '의료 기업'이 등장할 여지가 있어 보인다. 이는 우리나라보다는 미국에서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이런 케이스가 등장한다면 한국 시장에도 강력하게 개방을 요구하게 될 것 같다.
미국 로펌의 한국 진출이라면 막을 수도 있겠지만 기업화된 IT 서비스라면 어렵지 않을까. 단적인 예로, MS의 빙이 미국에 서버를 두고 한국의 판례와 법률 DB를 구축한 후에 기초 법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면 어떻게 될까.
단적인 예를 든 것 뿐이지만 여전히 우리나라엔 이런 식의 관행 기반으로 알음알음 진행되는 일들이 남아 있는듯 하다.
결국은 명확한 계약 기반의 거래로 전환된 것이니 사업을 시작할 여지 또한 분명히 있다.
이복연 코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 , University of Minnesota MBA
한국 IBM 소프트웨어 마케팅, 삼성 SDI 마케팅 인텔리전스, 롯데 미래전략센터 수석
저서 -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30문 30답 (2022) - 뉴 노멀 시대, 원격 꼰대가 되지 않는 법 (2021) - 당연한 게 당연하지 않습니다 (2020) - 일의 기본기: 일 잘하는 사람이 지키는 99가지 (2019)
내가 스타트업의 비즈니스에 관해 코칭하는 요지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 것 같다.
1. 새로운 시장에서 2등을 노려라.
전혀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은 엄청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유의미한 개선은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이 분야의 최강자가 바로 애플이다.
'시장 혁신'이라고 하면 새로운 아이디어, 세상에 없는 서비스를 떠올린다. 그런 것들은 우선 신기할 수는 있겠지만 혁신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대부분이다. 제품/서비스 자체가 부실할 위험성이 많고, 잘 만들어진다고 해도 시장에서 이를 수용할 준비가 안되어 있기도 하다.
2등은 바로 이런 리스크를 피할 수 있다. 혁신은 First to market이 아니라 Mass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다. 오죽하면 First mover disadvantage라는 말이 있을까.
2. 전근대적 거래 관행이 있는 곳을 산업화시켜라.
전근대적 거래 관행이란 '계약 기반'의 거래가 아니거나 지리/규모 측면에서 '좁은 곳'에서 중소 규모의 업체들이 '인맥 기반'으로 거래하는경우를 의미한다.
우리나라 유통업은 전통시장과 동네 슈퍼를 마트 및 편의점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영화관 산업 또한 지역별 단관 형태의 극장을 멀티플렉스와 온라인 기반 예약 시스템으로 대체했다. 배달의 민족 또한 마찬가지다.
물론 변호사나 의사, 그리고 택시 업계처럼 서비스에 대한 법적인 보호로 인해 산업화가 지지부진한 분야도 있다. 로톡이나 타다처럼 고군분투하는 케이스도 얼마든지 많다. 하지만 하나의 성공 사례만 나온다면 댐에 구멍이 뚫린 것과 같이 결국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특히나 요즘 AI가 발달하는 추세를 보면 법무나 의료 등의 특정 도메인에서의 전문성과 저렴한 비용을 결합한 '법무 기업', '의료 기업'이 등장할 여지가 있어 보인다. 이는 우리나라보다는 미국에서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이런 케이스가 등장한다면 한국 시장에도 강력하게 개방을 요구하게 될 것 같다.
미국 로펌의 한국 진출이라면 막을 수도 있겠지만 기업화된 IT 서비스라면 어렵지 않을까. 단적인 예로, MS의 빙이 미국에 서버를 두고 한국의 판례와 법률 DB를 구축한 후에 기초 법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면 어떻게 될까.
단적인 예를 든 것 뿐이지만 여전히 우리나라엔 이런 식의 관행 기반으로 알음알음 진행되는 일들이 남아 있는듯 하다.
결국은 명확한 계약 기반의 거래로 전환된 것이니 사업을 시작할 여지 또한 분명히 있다.
이복연 코치
-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30문 30답 (2022)
- 뉴 노멀 시대, 원격 꼰대가 되지 않는 법 (2021)
- 당연한 게 당연하지 않습니다 (2020)
- 일의 기본기: 일 잘하는 사람이 지키는 99가지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