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이 낮고 사고능력이 떨어진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뛰어난 공대생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워낙 똑똑하다보니 일은 물론이고 살아가면서 마주치는 다양한 문제에 관해 지식과 사고능력에만 의존해서 접근하는게 문제라는 뜻이다.
요즘 유행하는 MBTI에서 말하는 T 유형이라고 봐도 무방하겠다.
친구나 연인이 어떤 문제로 우울해하면 옆에서 차분하게 이야기를 들어주기보다는 대뜸 해결책부터 제시한다. '니가 잘못했네. 그때는 이렇게 했어야지', 혹은 '무슨 말인지 알겠어. 지금 니가 힘든 이유는 말이지..' 하는 식으로 접근한다. 즉 공감이 아닌 설명이고 어떤 문제를 피상적으로 파악하고 기계적으로 일시적 해결책을 제시한다.
일을 할때도 마찬가지다. 한 눈에 파악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해결책을 선호하며 매우 목적 지향적이다.
예를 들어 CEO인 사람이 직원들의 이직률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상황에 직면했다고 해보자. 노동 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파악하거나 자사의 조직문화를 점검하거나, 혹은 대표인 본인의 경영 스타일을 돌아보는 등 다각도로 문제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똑똑한 창업가들은 '연봉 올려줬음 됐지 또 뭔 불만이야' 하는 식으로 생각할 뿐이다.
본인의 지식을 믿고 명확한 해결책을 선호하는 이런 유형의 공통적인 문제는 또 있다. 바로 매우매우 바쁘다는 것.
혼자 있을 때도 가만 있지를 못한다. 새로운 지식을 배우거나 어떤 활동을 하거나 SNS에 자기가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을 부지런히 포스팅하고 공유한다. 그 심리적 배경에는 많이 알고 체계를 갖추면 어떤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무의식적인 믿음이 있다.
때로는 기계적이고 구조적인 접근과 이를 통한 문제해결이 효율적이기도 하다. 이런 맥락에서 컨설턴트적인 프레임도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문제를 대하는 당사자로 하여금 본인의 상식과 지식 범주 밖의 아이디어를 배제하게 만든다. 기계적인 인풋/아웃풋 구조에서는 이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고를 가진 똑똑한 사람들은 태스크 단위의 업무에서는 뚜렷한 강점을 보인다. 짧은 시간 안에 답을 찾아내고 대안도 확실하게 마련한다. 뛰어나다. 하지만 Management 이슈가 되면 적응하기 힘들어한다. 그리고 전략과 사람의 문제가 되면 이들의 장점은 단점이 된다.
대뇌피질에 의존해서 프로세싱하기 때문인데,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는 가능하지만 감정과 욕구, 본능, 공감 영역에는 취약하다는 뜻.
우리가 일상과 경영에서 부딪히는 문제는 숫자로 명확하게 증명 가능하고 정답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인간과 관련하여 추상적이고 원초적인 케이스도 존재한다. 후자에 관해서도 알고는 있지만 의식은 습관적으로 지식과 논리에 기반해 문제를 해결하는 셈이다.
그럼 이런 성향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 번째로 권하는 것은 '멍 때리기'다. 혼자 있을 때나 여가 시간에 가끔은 아무것도 듣고 읽고 배우지 말자. 그리고 두 번째는 '조용한 관찰'인데 나는 산책을 추천한다.
골목이나 시장, 그 밖에 다양한 사람들을 볼 수 있는 장소를 돌아다녀보자. 주변 풍경은 어떤지 사람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차분하게 관찰하자. 이런 활동들은 언뜻 뜬구름 잡는 시간낭비처럼 보이지만 실은 두뇌의 다양한 영역을 자극하는 행동이다. 생각보다는 그저 보고 느끼는 것이 핵심이다.
이런 활동들은 지식이나 논리에 매몰되어 사람과 삶에 관련된 문제까지 기계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를 개선해준다.
괜히 이렇게 적고 보니까 내 개인의 의견이나 주의같이 보이기도 한다. 관련해서 John Kotter 교수가 HBR에 기고한 아티클 “What effective general managers really do”를 일독하길 추천한다.
제가 그렇네요
저는 사람들 문제를 해결해주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하면서 고객분들이 고민하는 문제를 볼때면 종종 한눈에 해결가능해보이는데 왜 고민할까 라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제가 세상을 기계적 구조적으로 바라보고 잘 살아왔어서 이게 제 장점이라고 여겼습니다.
남들도 그래야한다고 생각했구요.
그런데 새로운 관점을 제해주셔서 이런 점이 한계가 될 수 있다는 시야를 갖게 되었네요.
요즘 말로 T유형에 속하는 창업가에 관해 -
창업가들을 만나다보면 ‘충분히 깊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종종 받는다.
지능이 낮고 사고능력이 떨어진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뛰어난 공대생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워낙 똑똑하다보니 일은 물론이고 살아가면서 마주치는 다양한 문제에 관해 지식과 사고능력에만 의존해서 접근하는게 문제라는 뜻이다.
요즘 유행하는 MBTI에서 말하는 T 유형이라고 봐도 무방하겠다.
친구나 연인이 어떤 문제로 우울해하면 옆에서 차분하게 이야기를 들어주기보다는 대뜸 해결책부터 제시한다. '니가 잘못했네. 그때는 이렇게 했어야지', 혹은 '무슨 말인지 알겠어. 지금 니가 힘든 이유는 말이지..' 하는 식으로 접근한다. 즉 공감이 아닌 설명이고 어떤 문제를 피상적으로 파악하고 기계적으로 일시적 해결책을 제시한다.
일을 할때도 마찬가지다. 한 눈에 파악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해결책을 선호하며 매우 목적 지향적이다.
예를 들어 CEO인 사람이 직원들의 이직률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상황에 직면했다고 해보자. 노동 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파악하거나 자사의 조직문화를 점검하거나, 혹은 대표인 본인의 경영 스타일을 돌아보는 등 다각도로 문제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똑똑한 창업가들은 '연봉 올려줬음 됐지 또 뭔 불만이야' 하는 식으로 생각할 뿐이다.
본인의 지식을 믿고 명확한 해결책을 선호하는 이런 유형의 공통적인 문제는 또 있다. 바로 매우매우 바쁘다는 것.
혼자 있을 때도 가만 있지를 못한다. 새로운 지식을 배우거나 어떤 활동을 하거나 SNS에 자기가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을 부지런히 포스팅하고 공유한다. 그 심리적 배경에는 많이 알고 체계를 갖추면 어떤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무의식적인 믿음이 있다.
때로는 기계적이고 구조적인 접근과 이를 통한 문제해결이 효율적이기도 하다. 이런 맥락에서 컨설턴트적인 프레임도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문제를 대하는 당사자로 하여금 본인의 상식과 지식 범주 밖의 아이디어를 배제하게 만든다. 기계적인 인풋/아웃풋 구조에서는 이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고를 가진 똑똑한 사람들은 태스크 단위의 업무에서는 뚜렷한 강점을 보인다. 짧은 시간 안에 답을 찾아내고 대안도 확실하게 마련한다. 뛰어나다. 하지만 Management 이슈가 되면 적응하기 힘들어한다. 그리고 전략과 사람의 문제가 되면 이들의 장점은 단점이 된다.
대뇌피질에 의존해서 프로세싱하기 때문인데,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는 가능하지만 감정과 욕구, 본능, 공감 영역에는 취약하다는 뜻.
우리가 일상과 경영에서 부딪히는 문제는 숫자로 명확하게 증명 가능하고 정답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인간과 관련하여 추상적이고 원초적인 케이스도 존재한다. 후자에 관해서도 알고는 있지만 의식은 습관적으로 지식과 논리에 기반해 문제를 해결하는 셈이다.
그럼 이런 성향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 번째로 권하는 것은 '멍 때리기'다. 혼자 있을 때나 여가 시간에 가끔은 아무것도 듣고 읽고 배우지 말자. 그리고 두 번째는 '조용한 관찰'인데 나는 산책을 추천한다.
골목이나 시장, 그 밖에 다양한 사람들을 볼 수 있는 장소를 돌아다녀보자. 주변 풍경은 어떤지 사람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차분하게 관찰하자. 이런 활동들은 언뜻 뜬구름 잡는 시간낭비처럼 보이지만 실은 두뇌의 다양한 영역을 자극하는 행동이다. 생각보다는 그저 보고 느끼는 것이 핵심이다.
이런 활동들은 지식이나 논리에 매몰되어 사람과 삶에 관련된 문제까지 기계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를 개선해준다.
괜히 이렇게 적고 보니까 내 개인의 의견이나 주의같이 보이기도 한다. 관련해서 John Kotter 교수가 HBR에 기고한 아티클 “What effective general managers really do”를 일독하길 추천한다.
진짜 능력있는 경영자란 무엇인가에 관해 다른 시각을 보여준다.
링크 : What Effective General Managers Really Do
이복연 코치
-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30문 30답 (2022)
- 뉴 노멀 시대, 원격 꼰대가 되지 않는 법 (2021)
- 당연한 게 당연하지 않습니다 (2020)
- 일의 기본기: 일 잘하는 사람이 지키는 99가지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