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매뉴얼 🚀 

꼭 알아야 할 경영 지식부터 조직관리, 전략, 창업과 인사이트까지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매뉴얼을 확인해보세요! 

인사이트Chat GPT 기반 사업 아이템이 심사에 떨어지는 이유

스타트업 심사 및 평가를 부탁받아서 제법 많은 곳을 다녀왔다. 가는 자리마다 Chat GPT를 이용해서 돈 벌겠다는 스타트업들이 종종 나와서 확실히 트렌드구나 싶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런 아이템들은 거의 다 평가가 좋지 못했다. 

유행과 심사는 별개이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비즈니스의 기본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기본이란 다음 세 가지를 의미하며, 셋 중 하나라도 어긋나면 비즈니스가 성립하기가 힘들다. 


  1. 기술, 자본, 인지도, 디자인 등 내가 가진 or 가지게 될 요소를 활용해 고객의 주머니를 열 수 있는가

    - 'PMF(Product - Market - Fit)'
    - 내가 출시하는 제품/서비스에 고객이 돈을 내는가? 고객이 무료로 사용하는 동안 나에게 대신 돈을 지불하는 3자가 존재하는가?

  2. 해당 요소를 활용해 경쟁사의 사업 전개에 '제약'을 강요할 수 있는가

    - 'Resource의 내재화' 또는 '차별적 경쟁우위'
    - 내가 가진 기술, 자본, 디자인 등에 적절할 가격을 설정하고 경쟁사로 하여금 나보다 더 비싸게 사용하거나 제품 개발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등의 제약을 걸 수 있는가

  3. 성장에 충분한 시장규모이고 수익을 향유할 수 있는 밸류체인인가

    - '산업구조'
    - 개발 및 내재화에 투자된 비용을 회수하고 꾸준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시장규모인가?
    - 향후 수익성을 향유할 수 있는 밸류체인인가?


Chat GPT를 활용한 아이디어들은 시장에 단기적인 반향을 가져올 수는 있다. 하지만 기술에 대한 오너십을 가지지 못하고 같은 기술을 쓰는 경쟁사를 막아설 방법도 마땅찮으며 어떤 형태로 수익화가 가능한지도 불투명하다.

Chat GPT 붙여봤자 경쟁사도 손쉽게 따라할 것이고 내 서비스가 고객들에게 뭔가 추가적인 가치를 주지도 못할 것이다. 굳이 Chat GPT가 아니더라도 고객에게 가치있는 서비스는 여전히 잘 팔릴 테니까. 그리고 고객들이 Chat GPT 쓰고 싶으면 거기 돈을 내지 우리 회사는 안중에 없을 것이다.

사업과 기술을 동일시하거나, 비즈니스를 만드는 것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하면 결국 이런 오류에 빠지게 된다.

요약하자면 1) 통제권이 나에게 있으며 2) PMF를 만족하고 3) 규모를 갖춘 시장과 산업 구조를 갖춘 사업만이 살아남는다. 셋 중 하나 이상이 없다? 그냥 돈 낭비다.

P.S. 다만 셋 중 하나 이상이 '명확하지 않아서' 검증이 필요하다면 다른 얘기다. 그 검증이 바로 스타트업이 할 일이다. 



 이복연 코치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 , University of Minnesota MBA
  • 한국 IBM 소프트웨어 마케팅, 삼성 SDI 마케팅 인텔리전스, 롯데 미래전략센터 수석
  • 저서
    -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30문 30답 (2022)
    - 뉴 노멀 시대, 원격 꼰대가 되지 않는 법 (2021)
    - 당연한 게 당연하지 않습니다 (2020)
    - 일의 기본기: 일 잘하는 사람이 지키는 99가지 (2019)
  • e-mail : bokyun.lee@pathfindernet.co.kr
  • SNS : Facebook




0

mail|office@pathfindernet.co.kr
ins|@memenual_career

fb|  @me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