웬만하면 이런 얘기 하고 싶지 않지만.
스타트업을 하려면 당연히 성실해야 한다. 정확하게는 성공 의지를 가진 사람 중에서 책임감과 자기 통제력이 높고, 삶과 일을 조직화할 수 있는 사람들이 창업과 스타트업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누구나 자기가 나름대로 성실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실 스타트업 창업자의 절반 이상이 그렇지가 않다.
최소한 내가 미매뉴얼을 통해 검사했던 2,000여 명의 창업가는 그랬다. 창업을 희망하거나 혹은 지금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대표들 중에서 성실성 지표가 표준치 이하인 사람이 절반이 넘었다. 수많은 스타트업이 창업 후에 망하는 이유가 다 있었던 셈.
그렇지만 성실성하다고 해서 좋은 것만은 아니다. 성실성이 보통 이상인 사람들 중 2~30%는 '완벽주의' 성향을 보이는데 이것이 큰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스타트업의 가장 큰 특성은 결국 '예측 불가'라는 점이다. 성공 여부는 물론이고 오늘 대체 무슨 사고가 벌어질지도 알 수가 없고 변화무쌍하다.
그래서 모든 경우의 수를 대비하고 하나하나 체크하며 집착하는 것도 이해는 간다. 업무의 중요도에 따라 이런 꼼꼼함이 유연하게 발휘되는 것은 차라리 건강하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내가 말하는 '완벽주의자'들은 일의 경중과는 무관하게 모든 것에 강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혼자서만 그러면 또 모르겠는데, 주변 사람에게도 이런 성향을 표출하고 모두의 정신적 평화를 깨뜨린다. 쉽게 말해 '나는 이렇게 목숨 걸고 하는데 너희는 뭐하는 거야?'하는 마인드.
중요한 일을 완벽하게 처리하는 것은 좋지만,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려는 건 자기를 망가뜨리는 지름길이 된다.
1. Lean Startup과 완벽주의
완벽주의자는 일을 구조화하는 능력이 없다. 쉽게 말해 업무의 중요도나 순서를 파악할 줄 모른다는 것이다. 이런 사람은 매일 야근하고 고생하지만 결과물을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이런 성향은 스타트업, 특히 창업 초기에는 치명적이다.
앞서 얘기한 바와 같이 스타트업에서는 아무리 준비해도 계획대로 되는 경우는 드물고 계획대로 진행되는 동안에도 예상치 못한 문제가 계속 발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장고 고객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창업 초기에, 사업이 내 계획대로 움직인다는 것은 곧 내가 예측할 수 있는 아주 좁은 일부만 조망하고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스타트업 창업 방법론으로 Lean Startup은 이런 맥락에서 등장한 것이다. 사전에 완벽하게 준비하는 것보다는 빠른 의사결정과 상황 대처, 순발력과 지구력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이며 스타트업 창업에서는 계획보다는 실패를 통해 '학습'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완벽주의자는 고집이 세다. 사고가 경직되어 있어서 자기가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기까지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린다. 매번 완벽하게 준비하느라 Time to market을 놓치는 것은 물론, 초기 가설이 틀렸다는 것을 고객 반응을 통해 확인한 후에도 인정하고 보완하는게 쉽지가 않다.
열심히 하는 것 중요하고, 때로는 강박적으로 디테일에 집착하기도 해야 하지만 거기서 빠져나올 수도 있어야 한다. 하지만 완벽주의자는 남들보다 이게 잘 안된다. 이게 반복되다보면 결국 힘을 잃게되는 것이다.
성실한 사람은 일을 빈틈없이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완벽주의자는 이름과는 다르게 일을 완벽하게 마무리하지 못한다. 스타트업 창업은 '정해진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대응'이기 때문이다.
2. 완벽주의자의 세 가지 유형
1) 불안형 완벽주의자
이 유형은 불안이나 분노와 같은 감정적 반응을 나타내면서 한 가지 일에서 손을 떼지 못한다. 그렇다고 그 일에 몰입하느냐? 그런 것도 아니다.
지금 눈앞에 있는 일이 아니라 '언젠가 일어날지도 모르는 미래'에 신경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불안이라는 성향 자체가 그렇다. 현실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것들에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그래서 불안형 완벽주의자는 일에 올인하는 것 같지만 결과물을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이런 유형이 창업자라면 팀원들을 들들 볶고 화풀이만하지 결국 성과는 못 낸다.
2) 에고형 완벽주의자
에고와 연결된 완벽주의자는 '열심히 하는 나', '일에 몰입하는 나'라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하는 '척'한다.
불안형과 마찬가지로 현재가 아니라 주변의 인정이나 내 이미지가 주 관심사라 역시나 일에 몰두하지는 못한다. 당연히 조직화나 구조화도 안 되는 일못인데 자기는 절대로 인정하지 않는게 문제. 어떤 문제 상황이 벌어져도 그 원인과 해결책보다는 '내 자존감에 상처가 났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화를 내기도 한다.
에고형 완벽주의자는 정말로 창업하면 안되는 유형이다. 하지만 일못이라 회사생활도 잘 못해서 결국 사회생활 몇 년 하다가 스타트업과 창업에 기웃거리게 된다.
그런데 의외로 Series A까지 가는 경우도 많은데, 이미지를 구축하고 남에게 쇼잉하는데는 능력이 있는지라 이 정도 투자까지는 받아낸다. 그렇지만 이후로는 투자자와 함께 가라앉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 자존심, 에고가 희생되느니 그냥 같이 죽는걸 택한다.
계속 회사생활을 한다고 해도 시간이 갈수록 경직성이 점점 강해져서 결국 꼰대 중에도 상꼰대가 된다. 나는 지금까지 잘 살아왔다, 너희들이 못났고 세상이 이상한거지 나는 문제가 없다고 탓한다. 그러다 보면 결국 타인에게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게 된다.
3) 이상형 완벽주의자
세 번째는 나의 꿈과 이상을 위해 완벽주의자가 된 사람이다. 어떻게 보면 창업가한테 잘 어울리는 것 같기도 하다. 그렇지만 창업가의 꿈과 이상에는 한 가지 전제조건이 있다. 바로 '타인의 시선에 휘둘리지 않는다'는 것.
하지만 이상형 완벽주의자는 그저 관심 받고 싶고 유명해지고 싶은 경우다. 타인을 도구로 취급하는 것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추상적인 목표를 위해 희생시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창업에 있어서 최악의 유형이다. 수감된 살인자가 죽일 사람이 없어 자기를 죽였다는 괴담과도 비슷한 유형.
3. 내가 완벽주의자라면?
완벽주의자는 창업과 스타트업에 뛰어들기 전에 자기에게 내재된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 불안형 완벽주의자인 경우: 불안과 감정기복을 다스리고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는것이 시급. 마음을 충분히 다스리고 난 뒤에 아이디어 현실화에 나서야 한다.
- 에고형 완벽주의자인 경우: 사실 고치기가 힘들다. 에고가 강하다는 것은 타고난 기질에 성장기 경험까지 결합된 결과이므로 의지로 고치기가 힘들다. 팀을 이루는 것보다는 1인 창업을 하는 것이 좋다. 딱 거기까지.
- 이상형 완벽주의자인 경우: 자신을 컨트롤해줄 브레이크를 확보하고 창업하는 것이 좋다. 1984년 이전의 애플 이사회가 잡스에게 했던 것처럼. 자기에 대한 수용과 인정은 경험을 통한 것일수록 가치있다. 잡스가 우리가 아는 잡스가 된 것도 애플에서 쫓겨난 경험 때문이 아닐까 싶다.
스타트업에 뛰어들었다면 집요하게 매달리고 만족스러울 때까지 혼신의 힘을 다해야 한다.
하지만 모든 것을 완벽하게 확인하고 컨트롤하려는 태도는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니라 도리어 그 반대의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완벽주의는 본인의 스트레스로 인해 주변에 분노를 뿜어낸다. 그리고 타인의 노력을 폄하하며 불편한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결국 조직과 비즈니스를 망가뜨리게 된다.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서는 안된다. 중요한 일만 완벽하게 하자.
이복연 코치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 , University of Minnesota MBA
- 한국 IBM 소프트웨어 마케팅, 삼성 SDI 마케팅 인텔리전스, 롯데 미래전략센터 수석
- 저서
-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30문 30답 (2022)
- 뉴 노멀 시대, 원격 꼰대가 되지 않는 법 (2021)
- 당연한 게 당연하지 않습니다 (2020)
- 일의 기본기: 일 잘하는 사람이 지키는 99가지 (2019) - e-mail : bokyun.lee@pathfindernet.co.kr
- SNS : Facebook
웬만하면 이런 얘기 하고 싶지 않지만.
스타트업을 하려면 당연히 성실해야 한다. 정확하게는 성공 의지를 가진 사람 중에서 책임감과 자기 통제력이 높고, 삶과 일을 조직화할 수 있는 사람들이 창업과 스타트업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누구나 자기가 나름대로 성실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실 스타트업 창업자의 절반 이상이 그렇지가 않다.
최소한 내가 미매뉴얼을 통해 검사했던 2,000여 명의 창업가는 그랬다. 창업을 희망하거나 혹은 지금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대표들 중에서 성실성 지표가 표준치 이하인 사람이 절반이 넘었다. 수많은 스타트업이 창업 후에 망하는 이유가 다 있었던 셈.
그렇지만 성실성하다고 해서 좋은 것만은 아니다. 성실성이 보통 이상인 사람들 중 2~30%는 '완벽주의' 성향을 보이는데 이것이 큰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스타트업의 가장 큰 특성은 결국 '예측 불가'라는 점이다. 성공 여부는 물론이고 오늘 대체 무슨 사고가 벌어질지도 알 수가 없고 변화무쌍하다.
그래서 모든 경우의 수를 대비하고 하나하나 체크하며 집착하는 것도 이해는 간다. 업무의 중요도에 따라 이런 꼼꼼함이 유연하게 발휘되는 것은 차라리 건강하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내가 말하는 '완벽주의자'들은 일의 경중과는 무관하게 모든 것에 강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혼자서만 그러면 또 모르겠는데, 주변 사람에게도 이런 성향을 표출하고 모두의 정신적 평화를 깨뜨린다. 쉽게 말해 '나는 이렇게 목숨 걸고 하는데 너희는 뭐하는 거야?'하는 마인드.
중요한 일을 완벽하게 처리하는 것은 좋지만,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려는 건 자기를 망가뜨리는 지름길이 된다.
1. Lean Startup과 완벽주의
완벽주의자는 일을 구조화하는 능력이 없다. 쉽게 말해 업무의 중요도나 순서를 파악할 줄 모른다는 것이다. 이런 사람은 매일 야근하고 고생하지만 결과물을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이런 성향은 스타트업, 특히 창업 초기에는 치명적이다.
앞서 얘기한 바와 같이 스타트업에서는 아무리 준비해도 계획대로 되는 경우는 드물고 계획대로 진행되는 동안에도 예상치 못한 문제가 계속 발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장고 고객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창업 초기에, 사업이 내 계획대로 움직인다는 것은 곧 내가 예측할 수 있는 아주 좁은 일부만 조망하고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스타트업 창업 방법론으로 Lean Startup은 이런 맥락에서 등장한 것이다. 사전에 완벽하게 준비하는 것보다는 빠른 의사결정과 상황 대처, 순발력과 지구력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이며 스타트업 창업에서는 계획보다는 실패를 통해 '학습'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완벽주의자는 고집이 세다. 사고가 경직되어 있어서 자기가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기까지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린다. 매번 완벽하게 준비하느라 Time to market을 놓치는 것은 물론, 초기 가설이 틀렸다는 것을 고객 반응을 통해 확인한 후에도 인정하고 보완하는게 쉽지가 않다.
열심히 하는 것 중요하고, 때로는 강박적으로 디테일에 집착하기도 해야 하지만 거기서 빠져나올 수도 있어야 한다. 하지만 완벽주의자는 남들보다 이게 잘 안된다. 이게 반복되다보면 결국 힘을 잃게되는 것이다.
성실한 사람은 일을 빈틈없이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완벽주의자는 이름과는 다르게 일을 완벽하게 마무리하지 못한다. 스타트업 창업은 '정해진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대응'이기 때문이다.
2. 완벽주의자의 세 가지 유형
1) 불안형 완벽주의자
이 유형은 불안이나 분노와 같은 감정적 반응을 나타내면서 한 가지 일에서 손을 떼지 못한다. 그렇다고 그 일에 몰입하느냐? 그런 것도 아니다.
지금 눈앞에 있는 일이 아니라 '언젠가 일어날지도 모르는 미래'에 신경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불안이라는 성향 자체가 그렇다. 현실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것들에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그래서 불안형 완벽주의자는 일에 올인하는 것 같지만 결과물을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이런 유형이 창업자라면 팀원들을 들들 볶고 화풀이만하지 결국 성과는 못 낸다.
2) 에고형 완벽주의자
에고와 연결된 완벽주의자는 '열심히 하는 나', '일에 몰입하는 나'라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하는 '척'한다.
불안형과 마찬가지로 현재가 아니라 주변의 인정이나 내 이미지가 주 관심사라 역시나 일에 몰두하지는 못한다. 당연히 조직화나 구조화도 안 되는 일못인데 자기는 절대로 인정하지 않는게 문제. 어떤 문제 상황이 벌어져도 그 원인과 해결책보다는 '내 자존감에 상처가 났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화를 내기도 한다.
에고형 완벽주의자는 정말로 창업하면 안되는 유형이다. 하지만 일못이라 회사생활도 잘 못해서 결국 사회생활 몇 년 하다가 스타트업과 창업에 기웃거리게 된다.
그런데 의외로 Series A까지 가는 경우도 많은데, 이미지를 구축하고 남에게 쇼잉하는데는 능력이 있는지라 이 정도 투자까지는 받아낸다. 그렇지만 이후로는 투자자와 함께 가라앉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 자존심, 에고가 희생되느니 그냥 같이 죽는걸 택한다.
계속 회사생활을 한다고 해도 시간이 갈수록 경직성이 점점 강해져서 결국 꼰대 중에도 상꼰대가 된다. 나는 지금까지 잘 살아왔다, 너희들이 못났고 세상이 이상한거지 나는 문제가 없다고 탓한다. 그러다 보면 결국 타인에게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게 된다.
3) 이상형 완벽주의자
세 번째는 나의 꿈과 이상을 위해 완벽주의자가 된 사람이다. 어떻게 보면 창업가한테 잘 어울리는 것 같기도 하다. 그렇지만 창업가의 꿈과 이상에는 한 가지 전제조건이 있다. 바로 '타인의 시선에 휘둘리지 않는다'는 것.
하지만 이상형 완벽주의자는 그저 관심 받고 싶고 유명해지고 싶은 경우다. 타인을 도구로 취급하는 것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추상적인 목표를 위해 희생시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창업에 있어서 최악의 유형이다. 수감된 살인자가 죽일 사람이 없어 자기를 죽였다는 괴담과도 비슷한 유형.
3. 내가 완벽주의자라면?
완벽주의자는 창업과 스타트업에 뛰어들기 전에 자기에게 내재된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스타트업에 뛰어들었다면 집요하게 매달리고 만족스러울 때까지 혼신의 힘을 다해야 한다.
하지만 모든 것을 완벽하게 확인하고 컨트롤하려는 태도는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니라 도리어 그 반대의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완벽주의는 본인의 스트레스로 인해 주변에 분노를 뿜어낸다. 그리고 타인의 노력을 폄하하며 불편한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결국 조직과 비즈니스를 망가뜨리게 된다.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서는 안된다. 중요한 일만 완벽하게 하자.
이복연 코치
-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30문 30답 (2022)
- 뉴 노멀 시대, 원격 꼰대가 되지 않는 법 (2021)
- 당연한 게 당연하지 않습니다 (2020)
- 일의 기본기: 일 잘하는 사람이 지키는 99가지 (2019)